
안녕하세요 레드추파 입니다
매터 버전의 전동 커튼을 설치해 봤습니다.
준비물은
원활한 설치를 위해서
전동드릴, 3단 사다리가 필요합니다.
커튼박스가 콘크리트라면 기리로 먼저 뚫고 칼블럭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해야 되지만
큰크리트가 아니라면 그냥 일반 나사를 사용해도 튼튼하게 고정이 잘됩니다.
전동커튼 구축 비용은
제미스마트 매터모터+트랙 약 8만 원

암막커튼 약 16만 원
속지커튼 약 8만 원
총 32만 원 정도 들었네요
25년 3월 기준 4세대 지그비 모터가 이 정도 가격이니

매터모터+ 레일 가격인데도 매우 저렴한 편이네요
한국에서 조립식 레일 중에 잘 나가는 제품은 마바바 조립식 레일인데요
해당 레일은 타원형 기어박스와 투야모터가 호환이 됩니다.
제미스마트의 조립식 레일의 기본 기어박스는 투야모터와 호환이 되지 않습니다.
전동커튼을 구매하기 전에는
조립식 레일의 기어박스와 전동모터가 호환이 되는지 파악하고 구매하셔야 합니다.
레일+모터를 한 번에 산다면 고민하지 않고 구매하셔도 되겠지요
아무래도 가격적인 측면에서는
중국을 이길 수가 없는 것 같습니다.,
소비자의 위치에서
똑같은 성능이라면 아무래도 가격이 싼 걸 찾을 수밖에 없으니까요
알리익스프레스에서 구매할 때는
알리익스프레스의 가격 추적기(크롬 확장프로그램)를 활용하여
가격이 비싼 시점인지 확인하고 구매하면 좋습니다.
알리익스프리스에 대한 가격 추적기 - Chrome 웹 스토어
AliPrice.com - 알리익스프리스 가격 추적기
chromewebstore.google.com
알리보다는 태무, 타오바오가 더 저렴하긴 한데
중국어로 되어 있어서 알리가 쇼핑하기 편합니다.
제미스마트 커튼이 도착하면
유튜브 영상을 보고 잘 조립을 하면 되는데요
구성품은 아래와 같습니다.

조립할때는 레일벨트 길이를 자를 때가 아주 중요합니다.
기어박스와 레일 길이가 딱 맞아떨어져야 합니다.
조금 길어서도 안되고 조금 짧아서도 안됩니다.
아주 정확해야 합니다.
양문열림으로 설치하려면 2개가 필요합니다.
기어박스의 원형으로 들어갈 때의 길이와 레일길이의 총길이를 딱 맞춰야 합니다.
제미스마트 기어박스의 경우에는 레일길이+13cm 하니까 딱 맞더라고요
조금 찜찜하시면 13.5cm로 해서 잘라서 조립해 보세요
약간 길게 하면 축이 이동할 때 뻑뻑해지게 되긴 하지만 (소음도 더 큼)
아무튼 레고 조립 잘하시는 분이라면 아주 Easy 하게 조립하실 수 있답니다.
다 조립하고 남은 부품이 아까워서 어떻게 할까 하고 당근에 올려봤지만
역시나 아무도 안 사가더군요 ㅎㅎㅎ
그래서 그냥 버렸습니다.남은 부품을 활용해서 부품만 따로따로 구매한다면 더 저렴하게 조립할 수 있을 것 같네요
그리고
저희 집의 커튼 박스는 15cm 정도입니다. 이중 커튼으로 설치하기에는 좁지만
이중커튼 설치가 아예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제미스마트 매터 조립식 커튼에서는 레일 고정 브라켓이 맞지 않는 브라켓으로 보내주기 때문에
이런 브라켓을 통해 커튼박스의 가로 폭을 확포 하시면 됩니다.

브라켓 10개에 7달러를 받으니 도둑.. 이 아닐까 싶지만
배송비까지 생각하면.. 뭐 가격 인정 하겠습니다.
아무튼 해당 브라켓을 튼튼하게 고정하려면 저는 레일당 8개 이상 박는 걸 추천드리고요
속지커튼은 가벼우니 6개만 박아도 될 거 같네요
모터 쪽이 더 무겁다 보니 모터 쪽에 나사를 좀 더 가까이 배치해 주시고요
그리고 나사를 박기 전에 제일 중요한 것은
레일과 레일을 연결해 주는 장치? 고정대? 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나사를 박아야 합니다.
안 그러면 회전형 브라켓을 고정할 수 없으므로 이 부분을 유의하셔야 합니다.
나사를 직각으로 예쁘게 박는 방법은
A4 용지 여러 장으로 커튼박스의 폭을 자를 사용해서 똑같이 그려주고
나사를 박을 위치에 스카치 테이프로 붙여준다면
그려놓은 선을 따라서 나사를 박으면 예쁘게 일자가 됩니다.
커튼 박스의 폭이 매우 매우 좁다 보니 꾸역꾸역 설치를 해야 합니다.
커튼고리를 매달고 커튼모터를 장착하는데 땀 좀 흘렸네요
커튼고리가 벽 쪽과 밀착되는 부분은 뺀치를 사용해서 커튼 고리를 짧게 잘라주시면 되고요
이중커튼이 아니라면 커튼박스에 레일 조명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생기지만
이중커튼이라 레일조명은 포기해야 할 거 같습니다
ps 커튼박스 폭이 충분하다면 레일 조명을 고정할때는 방열판을 사용해서 고정하는것이 튼튼하고 좋습니다.
(휴 그라디언트 스트립 추천)


그리고 커튼이 겹치지 않기 위해서 중간 공간을 최대한 확보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암막커튼을 닫을 때 속지커튼이 같이 닫히게 됩니다.
창쪽에 1cm 띄우고 + 커튼레일폭 3.2cm + 최대한 확보 + 커튼레일폭 3.2cm + 벽쪽1.5cm 확보
이렇게 설치하니 커튼 두 개가 겹치지 않고 설치가 잘됐습니다.

영상으로 보실까요?
페어링 방법과 리모컨 연동 방법은 너무 쉬워서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IP가 할당이 되기 때문에 IP는 고정할당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자동화는 저 같은 경우에는 아내와 제가 둘 다 5분 이상 외출 시에 커튼을 열게 해 두었고
집 현관에 모션이 감지되고 중문이 열리면 커튼을 닫게 자동화를 해두었습니다.
총평은
매터를 지원하는 전동모터라니 아주 만족스럽네요
매터는 호환성이 좋기 때문에 앞으로 스마트홈 프로토콜의 대세가 될 것입니다.
이상으로 글을 마무리하겠습니다.
약 30만 원으로 이중 전동커튼을 구축해보고 싶으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스마트홈 I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기질 모니터 Qingping Air Monitor Lite (CGDN1) (0) | 2025.04.06 |
---|---|
창문 자동 열기 (Smart Sliding Windows Pusher) [ZC-LP01] (0) | 2025.03.31 |
제미스마트 매터 블라인드 모터 Zemismart Smart Matter Thread Roller Shade Driver (MTP1) (0) | 2025.03.27 |
컴퓨터 켜기 자동화의 끝판왕 (WOL, AOS, 비콘) (0) | 2025.03.19 |
HA 가상스위치를 사용하여 구글홈 앱 스마트하게 사용하기 3탄 (0) | 2025.03.11 |











